안녕하세요 오늘이랑입니다.
위험성기법 8가지 중 마지막 7, 8번인 ETA, CCA,에 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이전 위험성평가 기법은 아래 참조 부탁 드립니다.
기법 1. 4M
기법 2. 체크리스트
기법 3. 사고예상질문 What-If
기법 4. 위험과 운전분석 HAZOP
기법 5. 작업안전분석 JSA
기법 6. 결함수 분석 FTA
기법 7. 사건수 분석 ETA
Event Tree Analysis
공정의 실패나 혼란 등의 초기사건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규명하는 방법으로서 설계 또는 운전단계에서 공정 위험성평가를 실시할 때 사고의 종류와 발생빈도 및 예상사고 시나리오를 도출
사건수 분석기법(ETA) 용어 정의
- 초기사건(Initiating event): 시스템 또는 기기의 결함, 운전원의 실수
- 안전요소(Safety Function): 초기의 사건이 실제 사건으로 발전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 운전원의 조치 등
사건수 분석기법(ETA) 수행절차
사건수 분석기법(ETA) 작성 예시
기법 8. 원인결과 분석기법 CCA
Cause Consequence Analysis
결함수 분석기법(FTA) 및 사건수 분석기법(ETA)를 결합한 것,
잠재된 사고의 결과 및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고, 사고결과와 원원사이의 상호관계를 예측하며,
리스크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리스크 평가기법
원인결과 분석기법(CCA) 수행절차
원인결과 분석기법(CCA) 작성 예시
위험성평가 기법 총 8가지를 4번의 포스팅에 걸쳐 나눠서 보았습니다.
사실 자주 쓰는 기법은 없지만 이런 방법도 있으며 사용이 필요한 경우가 생길 수 있으니 꼭 숙지하도록 하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참고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SAFE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 전 안전점검 절차(산업안전보건공단 양식) (0) | 2022.06.06 |
---|---|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른 건설현장 자율점검표(고용노동부) (0) | 2022.06.05 |
위험성평가 기법(작업안전분석 JSA, 결함수 분석 FTA) + 작성 예시 (0) | 2022.06.02 |
위험성평가 기법(사고예상질문(What-If), HAZOP ) + 작성 예시 (0) | 2022.06.01 |
위험성평가 기법(4M, 체크리스트) + 작성 예시 (0) | 2022.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