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 (49) 썸네일형 리스트형 위험성평가 기법(사고예상질문(What-If), HAZOP ) + 작성 예시 안녕하세요, 오늘이랑입니다. 저번 포스팅으로 위험성평가 기법 중 4M,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고예상질문(What-If)와 HAZOP 기법을 작성해보겠습니다. 기법3. 사고예상질문(What-If) 방법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사건을 세심하게 고려해보는 것. 설계단계, 건설단계, 운전단계, 공정의 수정 등에서 생길 수 있는 이탈 현상의 조사에 유용 사고예상질문 방법 특징 공정에 잠재하는 사고를 확인하여 그 위험과 결과, 또 위험을 줄이는 방법 등을 제시한다. 적용시기: "What-If" 분석은 현재 지어지는 공장에 대해서 공정의 개발 단계나 초기 시운전시에 적용한다. 가장 흔한 용도는 현재 공정에 변화를 주었을 때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사용한다. 사고예상질문 수행 절차 사고예상.. 위험성평가 기법(4M, 체크리스트) + 작성 예시 안녕하세요, 오늘이랑 입니다. 위험성평가 기법은 여러가지가 있는걸 다들 알고 계실겁니다. 사실 어느 기법을 사용하든 위험성평가는 유해위험요인을 제거 또는 정도 이상으로 낮추는 목표만 지켜지면 됩니다. 여러 기법들 중 본인 사업장과 맞는 기법을 한가지 또는 혼합해서 사용하여 가이드라인으로 사용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4M, 체크리스트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기법 1. 4M 위험성평가 방법 공정(작업)내 잠재하고 있는 유해위험요인을 Man(인적), Machine(기계적), Media(물질환경적), Management(관리적) 등 4가지 분야로 리스크를 파악하여 위험제거 대책을 제시하는 방법 4M 항목별 유해·위험요인 4M 위험성평가 작성예시 안전보건상 위험정보 리스크 평가표(4M-Risk.. 산업안전보건공단 표준작업안전수칙(지게차 안전수칙 등) 안녕하세요 오늘이랑입니다. 모든 기계, 기구를 한번에 다 알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기본적인 내용을 숙지하고 싶어서 매번 자문을 구하거나 구글링을 하지만 이마저도 기준이 없다면 중구난방한 자료만 모으게 됩니다. 그래서 저는 국가에서 '안전보건'에 관련한 내용을 담당하도록 위임한 기관인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등록된 자료를 기준삼아 찾고는 합니다. 찾기도 보기도 어렵게 되어있는 사이트이지만 그래도 증빙이 필요할때 먼저 찾아보곤 합니다 너네가 이렇게 올렸었잖아~~~ 이럴때? 꼭 보곤합니다.. 표준작업안전수칙 경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 사업소개 > 산업안전 > 위험성평가 컨설팅 및 인정 > 자료실 https://www.kosha.or.kr/kosha/business/rskassessmentd.do?m..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관리자 업무 및 자격 안녕하세요, 안전관리자의 업무가 모호하여 검색해서 들어온 사람들이 다수라 생각하여 도움이 되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과 시행령에 따라 안전관리자의 법적인 업무 및 자격을 기재하오니 업무에 참조 부탁드리며 그 외 의견은 언제든 댓글 부탁 드립니다 :) 산업안전보건법 제17조(안전관리자) 1항 사업주는 사업장에 제15조제1항 각 호의 사항 중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관하여 사업주 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에게 지도, 조언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두어야 한다. 그럼, 안전관리자가 행하여야 하는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이라하면은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제1항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 「제1항」에 관하여 사업주는 사업장을 실질적으로 총괄하여 관리하는 사람..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대상 및 시간, 과태료 등 안녕하세요~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은 정~말 듣는사람도 힘들고 하는사람도 힘들지만 꼭 해야하는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언제나 교육이 예방으로 이어진다는걸 믿어 의심치 않기 때문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전달할지도 안전관리자 등 관리자의 의 위치에서는 고민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안전보건교육 체계도 법령상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일반근로자, 관리감독자 등 대상 교육)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안전보건교육 가끔 "근로자"의 정의를 어려워하시는 분이 있는데 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1호에 따른 근로자 라고 보시면 됩니다. ☆근로자: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자를 말한다. 또한, 교육의무주체는 - 근로자가 직접 근로계약을 맺은 사업주가 의무 주체 - 다만, 근로자 파견 관계.. 위험성평가 유해위험요인 파악 방법(점검 목록, 재해유형, KRAS 분류 등) + 양식 안녕하세요, 오늘이랑입니다! 위험성평가 2단계 [유해·위험요인 파악] 방법에 대해서 공유합니다.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시행 2020. 1. 16.]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3호, 2020. 1. 14., 일부개정] 제8조(위험성평가의 절차) 사업주는 위험성평가를 다음의 절차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다만, 상시근로자수 20명 미만 사업장(총 공사금액 20억원 미만의 건설공사)의 경우에는 다음 각 호중 제3호를 생략할 수 있다. 1. 평가대상의 선정 등 사전준비 2. 근로자의 작업과 관계되는 유해·위험요인의 파악 3. 파악된 유해·위험요인별 위험성의 추정 4. 추정한 위험성이 허용 가능한 위험성인지 여부의 결정 5. 위험성 감소대책의 수립 및 실행 6. 위험성평가 실시내용 및 결과에 관한 .. 위험성평가 법령체계 및 진행 방법 안녕하세요, 정기 위험성평가 실시를 준비하다가 위험성평가 관련 법을 정리하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위험성평가의 실시) 36조(위험성평가의 실시) ① 사업주는 건설물, 기계ㆍ기구ㆍ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근로자의 작업행동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한 유해ㆍ위험 요인을 찾아내어 부상 및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 가능한 범위인지를 평가하여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이 법과 이 법에 따른 명령에 따른 조치를 하여야 하며, 근로자에 대한 위험 또는 건강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② 사업주는 제1항에 따른 평가 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바에 따라 해당 작업장의 근로자를 참여시켜야 한다. ③ 사업주는 제1항에 .. 중소 건설현장 사망사고 다발 기인물 자율안전점검표 안녕하세요 고노부 정책자료실을 보다가 발견한 자율안전점검표를 공유합니다. 내일을 위한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www.moel.go.kr 최근 3년간 1~50억 중소규모 건설현장 산업재해를 야기하는 '12대 사망사고 기인물'을 선정하고 자율 안전점검표를 제작, 배포하니 동 점검표에 따라 자율점검을 실시하며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