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2)
위험성평가 위험성 추정 방법 및 예시 안녕하세요, 오늘이랑 입니다. 위험성평가의 3단계 위험성 추정단계에서 어떻게 추정하고, 어떤 방법으로 추정할 것인지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제11조(위험성 추정)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시행 2020. 1. 16.]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3호, 2020. 1. 14., 일부개정] • 위험성(Risk) 이란 어느 정도 위험한지, 즉 위험한 정도를 말하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피해(harm), 즉, 부상 또는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확률)과 부상 또는 질병이 발생하였을 때 초래되는 중대성(심각성)의 조합(Combination)을 의미한다. • 결국, 위험성은 피해의 가능성(매우 높음, 높음, 보통, 낮음)과 피해의 중대성(무시 가능, 경상, 휴업, 장해, 사망 등)과의 조합니다. • 피해의 발생 ..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이행 자율점검표 안녕하세요~ 오늘이랑 입니다. 고용노동부 게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이행실태 자율점검표 공유 드립니다. 사업장 현황, MSDS 현황, 사업장 내 MSDS 조치 이행 점검표, MSDS 작성 시 주요 확인사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확물질별로 체크를 통해 한눈에 관리하기 쉬운 점검표입니다. 간단하게 사업장 내 물질안전보건자료 현황 파악하기 좋을거 같아서 공유드리오니 업무하는데 모두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점검표 첨부파일 관련 법령 MSDS 게시(법 제114조 제1항) 작업공정별 관리요령(법 제114조 제2항) MSDS 교육(법 제114조 제3항) 경고표시(법 제115조) MSDS 작성 시 주요 확인사항(FAST CHECK) - 제품 변경 정보를 반영한 최신 MSDS를 납품사업장에 누락없이 제공하고 있는..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항목별 사용 불가내역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관련 법령 법>행정규칙>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https://www.law.go.kr/행정규칙/건설업산업안전보건관리비계상및사용기준/(2022-43,20220602) 건설업산업안전보건관리비계상및사용기준 www.law.go.kr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건설공사 현장에서 직접 사용되거나 해당 건설업체의 본점 또는 주사무소(본사)에 설치된 안전전담부서에서 법령에 규정된 사항을 이행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대상공사(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정의) 11호) 가.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제4호에 따른 건설공사 나. 「전기공사업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전기공사 다. 「정보통신공사업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정보통신공사 라. 「소방시설공사업법」에 따른 소방시설..
채용 시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시간 및 교육내용 안녕하세요 오늘이랑입니다. 근로자 채용 시 안전보건교육 시간 및 교육내용입니다. 채용 시 교육 : 사업주가 새롭게 채용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 배치 전 실시해야 하는 교육 신규 채용된 근로자에게 해당 작업장의 안전관련 정보, 작업 시 유의사항 등을 교육하는 취지로 진행되는 교육입니다. 교육 대상별 최저 교육시간 교육과정 교육대상 최저 교육시간 교육시기 일반사업장 50인 미만 도매, 음식, 숙박업 일반 6개월 이상 경력자 일반 6개월 이상 경력자 채용 시 교육 일용근로자 (건설업 제외) 채용 시 1 시간 0.5 시간 0.5 시간 0.5 시간 일용근로자 외의 근로자 채용 시 8 시간 4 시간 4 시간 2 시간 교육 내용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5 제1호다목 구분 교육내용 채용 시 교육 - 산업안전 및 ..
작업 전 안전점검 절차(산업안전보건공단 양식) 안녕하세요, 오늘이랑 입니다. 작업 전 안전점검 절차에 대하여 작성 팁 및 양식 공유 포스팅입니다. 업무에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작업 전 안전점검 절차 누가: 사업주, 관리감독자, 근로자 - 사업주: 작업 전 안전점검 문화 조성 및 지원 - 근로자: 수행 작업의 위험요인 파악, 보고 및 대응 - 관리감독자: 해당 작업의 안전점검 및 개선대책 수립 언제: 일상작업은 매일 작업 전, 비일상작업은 당해 작업 전 무엇을: 점검포인트 + 산업현장 4대 필수 안전수칙 - 기계,기구, 물질, 작업장소를 토대로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방안을 찾아내고, 이에 따라 적절한 보호구, 표지, 작업절차 수립 및 공유를 위한 안전보건교육 실시여부 점검 점검포인트 산업현장 4대 필수 안전수칙 1. 기계·기구 및 설비 - 기계·기구 정..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른 건설현장 자율점검표(고용노동부) 안녕하세요, 오늘이랑입니다. 건설업 중대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점검표를 찾다가 고용노동부에서 올라온 자율점검표를 찾아 공유 드립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이행 등 관리상의 조치가 필수적입니다. 첨부된 자율점검표를 활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조치하면 체계마련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A4%91%EB%8C%80%EC%9E%AC%ED%95%B4%EC%B2%98%EB%B2%8C%EB%93%B1%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 중대재해처벌등에관한법률 www.law.go.kr 자율점검표 구성 출처 공유 링크 https://www.moel.go.kr/policy/..
위험성평가 기법(사건수 분석 ETA, 원인결과 분석 CCA) + 작성 예시 안녕하세요 오늘이랑입니다. 위험성기법 8가지 중 마지막 7, 8번인 ETA, CCA,에 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이전 위험성평가 기법은 아래 참조 부탁 드립니다. 기법 1. 4M 기법 2. 체크리스트 기법 3. 사고예상질문 What-If 기법 4. 위험과 운전분석 HAZOP 기법 5. 작업안전분석 JSA 기법 6. 결함수 분석 FTA 기법 7. 사건수 분석 ETA Event Tree Analysis 공정의 실패나 혼란 등의 초기사건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규명하는 방법으로서 설계 또는 운전단계에서 공정 위험성평가를 실시할 때 사고의 종류와 발생빈도 및 예상사고 시나리오를 도출 사건수 분석기법(ETA) 용어 정의 초기사건(Initiating event): 시스템 또는 기기의 결함, 운전원의 실수 ..
위험성평가 기법(작업안전분석 JSA, 결함수 분석 FTA) + 작성 예시 안녕하세요, 오늘이랑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위험성평가 기법 중 작업안전분석 JSA 과 결함수 분석 FTA 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4M, 체크리스트, What-if, HAZOP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기법1. 4M 기법2. 체크리스트 기법3. 사고예상질문(What-If) 기법4. 위험과 운전분석 방법(HAZOP) 기법 5. 작업안전분석 방법 JSA Job Safety Analysis 특정한 작업을 주요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유해위험요인과 잠재적인 사고를 파악하고, 유해위험요인과 사고를 제거, 최소화 및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개발하기 위해 작업을 연구하는 기법 작업안전분석 방법(JSA) 특징 작업자, 작업, 작업 도구(장비) 및 작업환경 사이의 관계에 집중 작업을 더 안전하게 하는 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