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평가 위험성 추정 방법 및 예시
안녕하세요, 오늘이랑 입니다. 위험성평가의 3단계 위험성 추정단계에서 어떻게 추정하고, 어떤 방법으로 추정할 것인지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제11조(위험성 추정)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시행 2020. 1. 16.]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3호, 2020. 1. 14., 일부개정] • 위험성(Risk) 이란 어느 정도 위험한지, 즉 위험한 정도를 말하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피해(harm), 즉, 부상 또는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확률)과 부상 또는 질병이 발생하였을 때 초래되는 중대성(심각성)의 조합(Combination)을 의미한다. • 결국, 위험성은 피해의 가능성(매우 높음, 높음, 보통, 낮음)과 피해의 중대성(무시 가능, 경상, 휴업, 장해, 사망 등)과의 조합니다. • 피해의 발생 ..
작업 전 안전점검 절차(산업안전보건공단 양식)
안녕하세요, 오늘이랑 입니다. 작업 전 안전점검 절차에 대하여 작성 팁 및 양식 공유 포스팅입니다. 업무에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작업 전 안전점검 절차 누가: 사업주, 관리감독자, 근로자 - 사업주: 작업 전 안전점검 문화 조성 및 지원 - 근로자: 수행 작업의 위험요인 파악, 보고 및 대응 - 관리감독자: 해당 작업의 안전점검 및 개선대책 수립 언제: 일상작업은 매일 작업 전, 비일상작업은 당해 작업 전 무엇을: 점검포인트 + 산업현장 4대 필수 안전수칙 - 기계,기구, 물질, 작업장소를 토대로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방안을 찾아내고, 이에 따라 적절한 보호구, 표지, 작업절차 수립 및 공유를 위한 안전보건교육 실시여부 점검 점검포인트 산업현장 4대 필수 안전수칙 1. 기계·기구 및 설비 - 기계·기구 정..